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시놉시스

등불 구경을 하다
위로 이동 | 이전 페이지로 이동 | 다음 페이지로 이동
시놉시스에 대한 내용

정월대보름의 등불 구경은 중국의 좋은 구경꺼리이다. 사흘 밤을 통행금지를 풀고 음악소리가 아침까지 이어진다. 설을 지나면 집집 마다 등을 달아 놓는데 벼슬아치 집과 민가, 부자와 가난한 사람에 따라 등의 많고 적음과 좋고 나쁨이 달라진다. 섣달그믐부터 종이총을 놓기 시작하는데 온 장안에 폭발하는 소리가 사격창처럼 울려와서 사람이 잠을 편히 잘 수 없다. 이는 나희 때 악귀를 쫓는 의미에서 시작된 것 같다. 보름밤 서종맹의 집에 가니 의자 3개를 문 앞에 두고 사행을 앉으라고 청했다. 그는 차를 내어다 차려놓고 화포놀이를 보여주었다. 그것은 통 안에서 불꽃이 튕겨나와 공중으로 불을 뿜어올렸다. 어떤 것은 공중에서 다시 터지는 소리를 내며 4~5개의 불덩이를 옆으로 쏘아 보냈다. 이것이 마치 유성처럼 보였다.

공간

이미지 상세팝업 보기

산해관

산해관

산해관(山海關)은 만리장성의 동쪽 끝자락에 위치한 관문이다. 1381년 명나라를 세운는 데 혁혁한 공을 세웠던 대장군 서달(徐達)이 태조 주원장(朱元璋)의 명령을 받아 세운 대규모 방어시설이다. 관의 북쪽에는 연산산맥의 줄기인 각산(角山)있고, 남쪽에는 발해(渤海)가 있다. 산해관의 이름은 각산과 발해에서 한 글자씩 따온 것이다. 산해관은 하나의 관문이 아니라 둘레가 5km인 성곽 전체를 말한다. 특히 동문은 이중으로 문을 만들고, 그 밖에는 나성을 둘러 방어의 기능을 높였다. 외문 바깥쪽에 ‘山海關(산해관)’이란 편액을 달았고, 내문 바깥쪽에는 ‘天下第一關(천하제일관)’이란 편액이 붙어있다. 이 산해관은 지리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중화와 오랑캐를 가르는 상징적 기준이었다. 산해관의 안쪽을 관내(關內)라고 하였고, 밖은 관외(關外)라 했으며, 청나라 북경에 들어설 때에도 입관(入關)이라고 하였다.
산해관은 천하제일의 관문답게 통관 절차가 까다로웠다. 사신 일행은 산해관에 도착하기 하루 전에 역관을 먼저 보내 사신이 도착했음을 알렸고, 관문 앞에 이르러 사람과 말의 수를 적은 단자를 들여보냈다. 관문이 열리면 관의 책임자의 점검을 받으며, 세 사신을 선두로 하여 문반과 무반이 대오를 이루어 차례로 들어섰다. 관내로 들어선 사신들은 발해 가에 쌓은 방어기지 영해성(寧海城)에 올라 발해를 구경했다. 영해성은 발해로 20m 들어가서 끝이 나는데, 여기를 노룡두(老龍頭)라 부른다. 만리장성을 한 마리 용에 비유하여, 그 머리라 하여 붙인 이름이다.

인물 홍대용(洪大容)

1731(영조7)~ 1783(정조 7)
문학적 상상력이 매우 뛰어나다. 그의 표현을 보면 무척 호방하고 대범한 기질이 엿보인다. 시와 서에 능하고, 넓고 깊은 시야를 지녔다. 총명하고 비범하다. 장난끼도 가득해서 이러저러한 장난들도 많이 치고 농담하기를 좋아한다. 흥미로운 것들을 잘 관찰하고, 그것을 재미있게 표현하는 능력을 가졌다. 배움에 대한 열의도 강하고, 적극적이다. 우리나라의 제도와 중국의 제도에 대해 비교하며 배울 것은 받아들이고, 비판할 것은 날카롭게 비판한다. 북경(北京)에서 엄성(嚴誠) ·반정균(潘庭筠) ·육비(陸飛) 등과 사귀어 경의(經義) ·성리(性理) ·역사 ·풍속 등에 대하여 토론했다.

소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