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시놉시스

양반을 팔다
위로 이동 | 이전 페이지로 이동
시놉시스에 대한 내용

서경순이 상방의 병방 군관인 주부 한응태에게 내 차림새가 어떠한가 묻자 그가 집사 양반이 우리들과 똑같아졌다고 말했다. 서경순이 지금 곧 압록강을 건너게 되었으니, 양반과 나이는 모두 강가 버들가지에 걸어 두었다가 돌아올 때 다시 찾기로 하고, 이제부터 양반으로 대접하지 말라 하였다. 한 주부가 그 말을 듣고 버들가지 위에 그냥 걸어 두면 가져가는 자가 있을지 모르니, 남에게 팔아서 노자에 보태는 것만 못할 것이라 하였다. 강을 건너기 전에 팔아야 할 터이니 자신이 중개하겠다며 나섰다. 한 주부가 양반 값이 얼마냐고 물어오자 서경순은 값이 비싸지만 시세에 맞추어 결정하라고 하였다. 서경순이 급제하면 감사까지 될 것인데 감사의 녹봉은 3만 냥보다 덜하지는 않을 것이나 그것은 미래의 일이므로 그 반으로 잡자고 하였다. 하지만 서경순은 나이 60에 가까우니 현직으로 논하자 하였다. 그렇다면 1만 냥짜리 고을살이는 수월할 것이니 그 반절로 하자고 하였다. 서경순은 그럴까 하다가 5천냥은 분수를 모르는 말이라고 하니 한 주부가 그렇게 되면 팔리지 않을 것이니 제 주머니에 있는 조선통보 3푼을 줄 터이니 탁주 한 잔을 사고 문서를 만들자고 하였다. 서경순은 내일의 1만냥이 눈 앞의 한 잔 술만 못하나 몇 백년 전하여 오던 칭호를 하루아침에 딴 사람에 던져 주는 것이 섭섭하니 도로 물릴 수 있는 문서로 만들자고 하자 듣고 있던 사람들이 모두 웃었다.

공간
서울

사행단은 떠나기 전에 서울에 와서 호조(戶曹)에 나아가 봉물인 세폐를 포장하고, 삼사가 모여 국서를 점검하는 사대(査對)를 행한다. 사대란 황제에게 바치는 표문(表文)과 6부에 바치는 자문(咨文)을 살펴 틀린 글자가 있는지 나중에 외교적인 문제가 될 표현은 없는지 확인하는 일로, 서울에서 떠나기 전에 3번, 도중에 3번을 할 정도로 중요한 작업이다. 사대에는 의정부의 세 정승과 육조의 판서, 애초에 문서를 만들었던 승문원(承文院)의 제조가 참여하여 꼼꼼하게 살핀다. 떠나기 전에 삼사가 대궐에 나가 왕을 하직하는 숙배(肅拜)를 행한다. 희정당(熙政堂)에서 삼사를 맞은 임금은 무사히 다녀오라는 인사와 함께 사행단에게 필요한 선물을 내린다. 모화관(慕華館)에 이르러 다시 사대를 행하고, 홍제원(弘濟院)에 이르자 호조에서 작별의 연회를 베푼다. 배웅 나온 친척들과 예전에 근무하던 관청의 하급자들과 일일이 작별의 인사를 나눈다.

인물 한응태(韓膺泰)

풍자와 해학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고, 양반들과 지적인 농담을 섞을 수 있을 만큼 학식이 풍부하다. 상대의 기분을 상하게 하지 않으면서 마음껏 놀리고 비웃기를 밥 먹듯이 할 수 있다. 사람이 유쾌하고, 지적이어서 대화를 오래해도 물리지 않는다.

소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