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시놉시스

융복사를 다녀온 역관의 이야기를 듣다
위로 이동 | 이전 페이지로 이동 | 다음 페이지로 이동
시놉시스에 대한 내용

역관 치형이 융복사와 저자거리를 둘러보고 왔는데, 융복사는 건축기술이 정교하고, 단청은 이전에 보지 못했을 정도로 화려하였다. 저자에는 상인들이 빼곡하게 들어차 있는데 다 기록할 수 없을 정도로 물품이 다양하였다. 절 동쪽 어귀에 있는 자명종과 윤도를 파는 가게의 주인에게 탁자위의 궤짝을 보여 달라고 하였더니, 주인이 열쇠로 궤짝을 여니깐 궤짝이 스스로 열리며 기이한 음악소리가 나고, 또한 앞쪽의 휘장이 스스로 걷히면서 옥으로 만든 대추만한 말과 팥알만한 사람이 무수히 나오고, 황제 앞의 수레와 장막 등이 빠진 것이 없이 스스로 돌아갔다. 또 안에 유리로 막힌 곳에도 코끼리와 말 탄 시위 등이 스스로 돌아가고 있었고, 수천명이 조회하는 모양이 귀신이 만든 것이 아니가 싶게 정교하게 만들어져 있었다. 이 궤짝의 값이 백은 800냥이고, 서양나라의 자명종도 은자 30냥이다. 이 가게에 쌓인 것만 해도 값으로 따지면 수 억만냥 할테니, 중국에 재물이 얼마나 많은지 짐작할 수 있다. 또 새로운 것이 코로 가루를 빨아들이는 담배가 있었다.

공간

이미지 상세팝업 보기

산해관

산해관

산해관(山海關)은 만리장성의 동쪽 끝자락에 위치한 관문이다. 1381년 명나라를 세운는 데 혁혁한 공을 세웠던 대장군 서달(徐達)이 태조 주원장(朱元璋)의 명령을 받아 세운 대규모 방어시설이다. 관의 북쪽에는 연산산맥의 줄기인 각산(角山)있고, 남쪽에는 발해(渤海)가 있다. 산해관의 이름은 각산과 발해에서 한 글자씩 따온 것이다. 산해관은 하나의 관문이 아니라 둘레가 5km인 성곽 전체를 말한다. 특히 동문은 이중으로 문을 만들고, 그 밖에는 나성을 둘러 방어의 기능을 높였다. 외문 바깥쪽에 ‘山海關(산해관)’이란 편액을 달았고, 내문 바깥쪽에는 ‘天下第一關(천하제일관)’이란 편액이 붙어있다. 이 산해관은 지리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중화와 오랑캐를 가르는 상징적 기준이었다. 산해관의 안쪽을 관내(關內)라고 하였고, 밖은 관외(關外)라 했으며, 청나라 북경에 들어설 때에도 입관(入關)이라고 하였다.
산해관은 천하제일의 관문답게 통관 절차가 까다로웠다. 사신 일행은 산해관에 도착하기 하루 전에 역관을 먼저 보내 사신이 도착했음을 알렸고, 관문 앞에 이르러 사람과 말의 수를 적은 단자를 들여보냈다. 관문이 열리면 관의 책임자의 점검을 받으며, 세 사신을 선두로 하여 문반과 무반이 대오를 이루어 차례로 들어섰다. 관내로 들어선 사신들은 발해 가에 쌓은 방어기지 영해성(寧海城)에 올라 발해를 구경했다. 영해성은 발해로 20m 들어가서 끝이 나는데, 여기를 노룡두(老龍頭)라 부른다. 만리장성을 한 마리 용에 비유하여, 그 머리라 하여 붙인 이름이다.

옥하관

명나라 때에는 우리 사신이 북경에 이르면 예부(禮部) 근처에 있는 여관에서 묵고 있었는데, 순치(順治) 초년부터 관(館)을 새로 짓고 우리 사신들을 거처하게 했다. 그 관이 옥하(玉河)의 곁에 있기 때문에 옥하관(玉河館)이라 하고, 혹은 남관(南館)이라고도 하였다. 건륭 임진년(1772, 영조 48)에 ‘회동관(會同館)’이라 사명(賜名)하고 관문에 회동 사역관(會同四譯館)이라고 편액했다. 그러다가 러시아[鄂羅斯] 사람들에게 점령되자, 정양문 안 동성(東城) 밑 건어호동(乾魚衚衕)에 관을 마련하고 이름을 서관(西館)이라 하여, 우리 사신을 옮겨 묶게 하였다. 서관은 한림서길사원(翰林庶吉士院)과 담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었고 옥하관보다 웅장하고 화려하였다. 그런데 러시아 사람들이 다시 그곳으로 옮겼기 때문에 우리 사행은 다시 옥하관에 관사를 정하게 되었다. 지금의 동교민항 호텔자리이다.
이 관은 대개 네 겹으로 되어 있다. 제일 첫 집은 곧 마루[廳事]로서 세 사신이 아문(衙門)의 여러 관원들과 공적인 예로 만날 적에 모였는데, 조선 후기에는 세폐(歲幣)ㆍ방물(方物) 등을 저장하는 곳으로 쓰였다. 두 번째 집은 정사(正使)가 거처하고, 셋째 집은 부사(副使)가 거처하고, 넷째 집은 서장관(書狀官)이 거처하였다. 집마다 다 건넌방과 좌우의 익랑(翼廊)이 있어, 반당(伴倘: 중국에 가던 사신이 자비(自費)로 데리고 가던 종자)과 비역(裨譯)들에게 나누어 주어 거처하게 하였다. 문밖에는 평상을 걸쳐서 마루를 만들어 오르고 내리는데 편리하게 하고, 마루 밑에는 자그마한 삿자리 방을 만들어서 마두들이 거처하며 부름을 기다리게 했다. 일행의 쇄마(刷馬)와 역마(驛馬)는 모두 삿자리 집 밖의 노천에 있었다. 관문(館門)은 세 사신이 출입하는 때가 아니면 늘 닫아 두고, 동쪽에 협문(夾門)이 하나 있어 일행의 여러 사람들은 거기로 다녔다고 한다. 조선의 연행사들은 옥하관의 이 동쪽 협문을 나와서 유리창 등 북경의 번화한 거리와 고적을 돌아보고, 수많은 중국의 명사들과 교유할 수 있었다.
『신원지략(宸垣識略)』에는 “옥하교는 동안가(東安街)에 있는 것을 북옥하교(北玉河橋), 동강미항구(東江米巷口)에 있는 것을 중옥하교(中玉河橋), 동성근(東城根)에 있는 것을 남옥하교(南玉河橋)라 한다. 사이관(四夷館)은 미항(米巷)에 있으며, 지금 고려인(高麗人)의 관사는 동성근에 있으니 곧 사이관의 별관이다.” 라고 기록되어있다.

인물 서유문(徐有聞)

1762(영조35) 스스로 행동을 나서서 하지는 않지만 남의 말을 경청할 줄 알고, 그 말 속에 재미를 찾아낼 줄 아는 사람이다. 실제로 본 것처럼 남의 말을 듣고 상상하는 것을 매우 잘한다. 위험을 무릅쓰고 적극적으로 행동하고 실천하는 사람을 마음속으로 부러워하고 닮고 싶어 하나 실제로는 마음이 약하고, 행동력이 부족하다. 하지만 유머러스한 풍자가 뛰어나 해학적인 재미를 주는 발견을 곧잘 한다.

치형(致馨)

다양한 물건에 관심이 많고, 세밀하게 관찰을 하여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해주기를 즐겨한다. 마치 그림을 그리듯 묘사가 섬세하고, 듣는 사람도 현장에 있는 것처럼 생생하게 말을 잘한다. 자신의 감상을 적절히 섞어 흥미를 고조시킬 줄도 알고, 큰 공간에서 세부적인 물건으로 이야기를 옮겨가면서 듣는 사람이 이해를 쉽게 하도록 하는 배려가 있고, 말에 조리가 있다.

소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