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시놉시스

중국의 밥을 살펴보다
위로 이동 | 이전 페이지로 이동 | 다음 페이지로 이동
시놉시스에 대한 내용

밥그릇은 찻잔만하고 모양이 다르다. 대개 4~5명 혹은 6~7명이 함께 탁자 한 군데에 둘러앉아 먹는다. 사람마다 밥그릇과 찻잔을 1개씩 마련해놓고, 그 뒤에 사발을 가져다 밤을 담아준 뒤 끓인 국과 구운 고기를 내온다. 밥쌀은 다 산도노미(山稻老米)인데 기름기가 없고 거칠어서 먹기가 어려웠다. 노미라는 것은 곧 노미(米)인데 물에서 건져낸 쌀을 말한다고 한다. 북경 이외의 음식점에서는 안주와 반찬의 경우 돼지고기만을 쓴다고 한다. 봉성에 당도했을 때 곧바로 음식점으로 들어갔는데 지배인이 “조선 사람이여! 무엇을 드릴까요?”하고 물었다. 그래서 나 또한 농담으로 “지배인[掌櫃的]! 좋은 걸로 골라서 가져오게.”했다. 그랬더니 호로(胡盧)라는 탕면 한 그릇을 가져왔다.

공간

이미지 상세팝업 보기

산해관

산해관

산해관(山海關)은 만리장성의 동쪽 끝자락에 위치한 관문이다. 1381년 명나라를 세운는 데 혁혁한 공을 세웠던 대장군 서달(徐達)이 태조 주원장(朱元璋)의 명령을 받아 세운 대규모 방어시설이다. 관의 북쪽에는 연산산맥의 줄기인 각산(角山)있고, 남쪽에는 발해(渤海)가 있다. 산해관의 이름은 각산과 발해에서 한 글자씩 따온 것이다. 산해관은 하나의 관문이 아니라 둘레가 5km인 성곽 전체를 말한다. 특히 동문은 이중으로 문을 만들고, 그 밖에는 나성을 둘러 방어의 기능을 높였다. 외문 바깥쪽에 ‘山海關(산해관)’이란 편액을 달았고, 내문 바깥쪽에는 ‘天下第一關(천하제일관)’이란 편액이 붙어있다. 이 산해관은 지리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중화와 오랑캐를 가르는 상징적 기준이었다. 산해관의 안쪽을 관내(關內)라고 하였고, 밖은 관외(關外)라 했으며, 청나라 북경에 들어설 때에도 입관(入關)이라고 하였다.
산해관은 천하제일의 관문답게 통관 절차가 까다로웠다. 사신 일행은 산해관에 도착하기 하루 전에 역관을 먼저 보내 사신이 도착했음을 알렸고, 관문 앞에 이르러 사람과 말의 수를 적은 단자를 들여보냈다. 관문이 열리면 관의 책임자의 점검을 받으며, 세 사신을 선두로 하여 문반과 무반이 대오를 이루어 차례로 들어섰다. 관내로 들어선 사신들은 발해 가에 쌓은 방어기지 영해성(寧海城)에 올라 발해를 구경했다. 영해성은 발해로 20m 들어가서 끝이 나는데, 여기를 노룡두(老龍頭)라 부른다. 만리장성을 한 마리 용에 비유하여, 그 머리라 하여 붙인 이름이다.

인물 홍대용(洪大容)

1731(영조7)~ 1783(정조 7)
문학적 상상력이 매우 뛰어나다. 그의 표현을 보면 무척 호방하고 대범한 기질이 엿보인다. 시와 서에 능하고, 넓고 깊은 시야를 지녔다. 총명하고 비범하다. 장난끼도 가득해서 이러저러한 장난들도 많이 치고 농담하기를 좋아한다. 흥미로운 것들을 잘 관찰하고, 그것을 재미있게 표현하는 능력을 가졌다. 배움에 대한 열의도 강하고, 적극적이다. 우리나라의 제도와 중국의 제도에 대해 비교하며 배울 것은 받아들이고, 비판할 것은 날카롭게 비판한다. 북경(北京)에서 엄성(嚴誠) ·반정균(潘庭筠) ·육비(陸飛) 등과 사귀어 경의(經義) ·성리(性理) ·역사 ·풍속 등에 대하여 토론했다.

소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