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시놉시스

중국의 최고 광경을 묻다
위로 이동 | 이전 페이지로 이동 | 다음 페이지로 이동
시놉시스에 대한 내용

북경에 다녀온 사람들을 만나 무엇이 장관이었나 물으면, 사람들마다 요동벌판이라고도 하고, 산해관이라고도 하고, 또 동악묘라고도 하는 등 다 제각각이다. 그러나 일류의 선비는 볼 것이 없다고 하여 그 이유를 물으니, 황제부터 모든 사람들이 머리를 깎았으니, 머리를 깎으면 모두 오랑캐인데 오랑캐에게 무엇이 볼게 있었겠냐고 반문한다. 이 말을 들은 무리들은 이것이 곧 의리라 생각하였다. 또 중류의 선비들은 제도와 법도와 풍속은 옛 중국의 모습 그대로이지만, 야만족의 말을 따르는 등 변화된 모습이다. 야만족을 소탕한 후에야 장관을 얘기할 수 있다고 하였다. 명나라가 멸망하자 모두들 머리를 깍는 등 야만족이 되어버려 중국을 위해 복수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비록 오랑캐가 점령하였지만, 중국은 그대로 백성과 법률제도를 비롯한 훌륭한 문물은 그대로이며, 중국도 백성을 이롭게 하는 좋은 제도라 하면 비록 오랑캐의 제도라 해도 받아들였다. 이를 본받아 조선도 공업과 사업을 비롯하여 중국의 아름다운 문물을 배워야한다. 남의 10개 배울때 우리는 100개를 배워 백성들에게 이익을 주어야 할 것이다. 내가 본 장관을 말하자면 깨진 기와조각과 똥인데, 그 들은 깨진 기와조각을 버리지 않고, 다양한 무늬를 만들어내니 세상의 모든 무늬가 있는 것 같고, 또 뜰 앞에 벽돌을 깔지 못하는 경우에는 깨진 기와와 돌을 이용하여 꽃과 나무, 새와 짐승의 모양으로 깔아놓으니 아름다운 그림을 마당에 둘 수있게 되었다. 똥은 더러운 물건이지만, 거름으로 사용하게 되면 아껴서 사용하게 되는데, 말똥 등을 주워다가 헛간에 쌓아놓는데, 쌓는 모양이 네모뿐만이 아니라 8모, 6모, 누각모양으로 쌓으니, 똥을 쌓아놓는 맵시만 보고도 천하의 문물이 다 여기서 비롯된 것이라 말할 수 있다.

공간
요동

연행사들이 석문령(石門嶺)을 넘어서면 언덕 하나 없이 바다처럼 끝없이 펼쳐져 하늘에 닿은 요동벌이 눈에 들어온다. 산으로 둘러싸인 곳에 살던 연행사들에게 요동벌은 하나의 시각적 충격이자 새로운 인식을 가능케 하는 장소였다. 특히 새로운 천체관을 육안으로 확인해주는 공간이었다.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졌다[天圓地方]는 전통적인 천체관은 17세기 이후 지구는 둥글다[地球]는 과학적 천체관에 서서히 자리를 내주고 있었다. 연행사들은 요동벌에 와서 지평선에 닿은 하늘의 모양이 가마솥을 엎어놓은 듯한 것을 보고 지구가 둥글다는 단서를 찾았다.

인물 박지원(朴趾源)

1737(영조13)~ 1805(순조5)
호기심이 많고, 구경하기를 좋아한다. 학문이 풍부해 중국의 경제, 사회, 문학, 정치 등에 다양한 의견을 표함. 짓궂은 구석이 있다. 한문을 다루는데 능통하고, 책을 많이 읽어 아는 것이 많다. 은근슬쩍 잘난 체를 하려 하는 경향이 있다. 다소 진지하지만 유머러스하게 말을 잘해 사람들을 웃게 한다. 소설 짓기, 말 타고 잠자기가 취미이고 화술과 재치가 뛰어나 많은 친구들과 교유를 한다. 사행을 다녀와 열하일기(熱河日記)를 남겼다.

소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