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사행단 구성

방물

명ㆍ청에 바쳤던 조공품, 방물

방물(方物)이란 본래 지방에서 나는 특산물을 지방에서 중앙정부에 바치는 예물을 말하는데, 마찬가지로 책봉을 받는 곳에서 책봉을 하는 국가에게 바치는 예물도 이에 포괄된다. 여기서는 조선이 명나라와 청나라의 황제에게 보내는 조공품(朝貢品)을 말한다. 사행의 방물은 사행의 목적과 종류에 따라 그 내용을 달리하며, 또한 황제ㆍ황태후ㆍ황제비ㆍ황태자 등 누구에게 바치느냐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이들 품목은 조선의 토산품이면서 또한 중국에서 요청한 물품 가운데 최상의 품질을 가진 물품을 선별하여 보냈다. 그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방물 목록

테이블02
종류 구분 물목 비고
직물류 기타
연례
(年例)
동지
(冬至)
황제 누런색 고운 모시[黃細苧布] 10필
흰색 고운 모시[白細苧布] 20필
누런색 고운 명주[黃細綿紬] 20필
흰색 고운 명주[白細綿紬] 20필
용 무늬를 넣어 짠 발[龍紋簾席] 2장
노란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黃花席] 20장
온갖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滿花席] 20장
온갖 꽃무늬를 넣어 짠 방석[滿花方席] 20장
여러 가지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
[雜彩花席] 20장
품질이 좋은 흰 종이[白綿紙] 1,300권.
나전소함: 빗접이란 빗, 빗솔, 빗치개와 같이 머리를 빗는 데 쓰는 물건을 넣어 두는 도구이다. 민간에서는 창호지 따위를 여러 겹 붙여 기름에 결어서 만들거나 나무로 짜서 만들어 썼다. 나전소함(螺鈿梳)이란 외면에 광채가 나는 자개 조각을 여러 가지 모양으로 박아 넣거나 붙여서 장식한 빗접이다.
황후 붉은색 고운 모시 10필
흰색 고운 모시 20필
자주색 고운 명주[紫細綿紬] 20필
흰색 고운 명주 10필
나전으로 장식한 빗접[螺鈿梳] 1건
노란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 10장
온갖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 10장
여러 가지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 10장
황태후 황후와 같음 황후와 같음
황태자 흰색 고운 모시 15필
흰색 고운 명주 10필
노란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 10장
온갖 꽃무 늬를 넣어 짠 돗자리 10장
여러 가지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 10장
품질이 좋은 흰 종이 500권
정조
(正朝)
황제 동지와 같음 동지와 같음. 단 돗자리와 방석이 각각 15장  
황후 동지와 같음 동지와 같음
황태후
황태자
성절
(聖節)
황제 누런색 고운 모시 10필
흰색 고운 모시 20필
누런색 고운 명주 30필
자주색 고운 명주 20필
흰색 고운 명주 20필
용 무늬를 넣어 짠 발 2장
노란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 20장
온갖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 20장
여러 가지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 20장
수달 가죽[水獺皮] 20장
품질이 좋은 흰 종이 1,400권
6장을 붙인 두꺼운 기름종이[粘六張厚油芚] 10부
 
황후 붉은색 고운 모시 10필
흰색 고운 모시 20필
자주색 고운 명주 20필
흰색 고운 명주 10필
노란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 10장
온갖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 10장
여러 가지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 10장
 
별사
(別使)
사은
(謝恩)
진위
(陳慰)
진하
(進賀)
황제 누런색 고운 모시 30필
흰색 고운 모시 30필
누런색 고운 명주 20필
자주색 고운 명주 20필
흰색 고운 명주 30필
용 무늬를 넣어 짠 발 2장
노란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 15장
온갖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 15장
여러 가지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 15장
품질이 좋은 흰 종이 2,000권
 
황후 붉은색 고운 모시 10필
흰색 고운 모시 10필
흰색 고운 명주 10필
온갖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 10장
여러 가지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 10장
 
황태후 황후와 같음 황후와 같음  
황태자 흰색 고운 모시 20필 온갖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 10장
여러 가지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 10장
품질이 좋은 흰 종이 500권
족제비 꼬리털로 맨 붓[黃毛筆] 50자루
기름 그으름으로 만든 먹[油煤墨] 50자루
 
주청
(奏請)
(진주)
(進奏)
황제 누런색 고운 모시 20필
흰색 고운 모시 30필
누런색 고운 명주 20필
자주색 고운 명주 20필
흰색 고운 명주 30필
용 무늬를 넣어 짠 발 2장
노란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 10장
온갖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 20장
여러 가지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 10장
수달피(水獺皮) 20장
청서피(靑黍皮) 30장
품질이 좋은 흰 종이 2,000권
족제비 꼬리털로 맨 붓 100자루
기름 그으름으로 만든 먹 50자루
 
황후 붉은색 고운 모시 10필
흰색 고운 모시 10필
흰색 고운 명주 20필
온갖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 10장
여러 가지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 10장
 
황태후 황후와 같음 황후와 같음  
황태자 흰색 고운 모시 20필
흰색 고운 명주 20필
온갖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 10장
여러 가지 꽃무늬를 넣어 짠 돗자리 10장
표범 가죽(豹皮) 10장
품질이 좋은 흰 종이 500권
족제비 꼬리털로 맨 붓 40자루
기름 그으름으로 만든 먹 40자루
 
황제
심양행
문안
(皇帝
瀋陽行
問安)
황제   표범 가죽 20장
사슴 가죽(鹿皮) 30장
수달피 50장
청서피 100장
일본에서 나는 칼[倭長劍] 2자루[柄]
부초(浮椒) 15말[斗]
전복(全鰒) 20첩
문어[八大魚] 20마리
대구[大口魚] 200마리
해삼(海蔘) 200근
홍합(紅蛤) 200근
다시마[海帶] 200근
좋은 꿀[白蜜] 15말
잣[柏子] 15말
곶감[乾柹] 20첩
개암[榛子] 10말
광어(廣魚) 100마리
1743년(건륭 6, 영조 19)에 처음으로 황태후와 황후가 황제와 함께 심양(瀋陽)에 왔고, 비로소 이들에게 보내는 방물이 생겼다.
황후 흰색 고운 모시 20필
자주색 고운 명주 20필
부초 10말[斗]
전복 10첩
대구 100마리
해삼 100근
홍합 100근
문어 15마리
다시마 100근
광어(廣魚) 50마리
잣 10말
개암 10말
좋은 꿀 10말
곶감 10첩
황태후 황후와 같음 황후와 같음
진향
(進香)
황제 흰색 고운 모시 100필
흰색 고운 명주 200필
품질이 좋은 은[白銀] 300냥
품질이 좋은 흰 종이 5,000권
흰 종이[白紙] 5,000권
침속향(沈束香) 3냥
부용향(芙蓉香) 20지(枝)
꿀[淸蜜] 15말
황률(黃栗) 10말
잣 10말
은행(銀杏) 10말
대추[大棗] 10말
호두[胡桃] 10말
곶감 10첩
은으로 만든 향을 담는 함[銀香盒] 1개[事]
용을 그린 밀랍 초[畵龍燭] 1쌍(雙)
큰 촛대[大燭臺] 1쌍
제향 드릴 때 드리는 폐백이다.
황후 위와 같음 위와 같음
황태후 위와 같음 같음

1637년(인조 15)에 동지사(冬至使)ㆍ정조사(正朝使)ㆍ성절사(聖節使)를 한꺼번에 가는 것으로 정한 뒤로 위와 같이 되었다. 이 방물은 호조(戶曹)ㆍ선혜청(宣惠廳: 조선시대에, 대동미와 대동목, 대동포 따위의 출납을 맡아보던 관아)ㆍ장흥고(長興庫:조선시대에 둔 돗자리ㆍ종이ㆍ기름종이[油紙] 따위의 관리를 맡아보던 관아)ㆍ공조(工曹) 등 해당관청으로 하여금 시기에 맞추어 마련하게 하였다. 사행이 출발에 앞서 호조에서 방물을 간품하는 날짜를 잡았고, 그 날짜에 맞추어 각 소관 관청의 담당관이 방물을 가지고 호조에 모였다. 호조의 당상관과 실무자[郎官], 삼사신이 함께 입회하여[眼同], 방물의 품질을 살펴보고[看品], 방물을 봉해서 짐바리에 맞게 쌌다[封裹]. 방물을 포장한 다음에는 해당 물건을 수령하여 가는 관원과 차사원(差使員: 방물 수송을 위해 임시로 파견된 관리)이 이를 함께 감독하여 길을 떠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