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이야기 조각보

사건
위로 이동 | 이전 페이지로 이동 | 다음 페이지로 이동
벽돌 가마를 보고 조선의 가마와 비교하다
줄거리

이곳의 가마는 흙을 아궁이에 이겨 붙이고 물을 수십 통씩 길어다가 잇달아 가마 위로 들이붓는다. 가마 위는 조금 움푹 패어서 물을 부어도 넘치지 않았다. 가마는 한창 온도가 높아져 있어서 물을 부으면 곧 마르기 때문에 가마가 달아서 터지지 않게 하려고 물을 붓는 것 같다. 우리나라의 기와 가마는 하나의 누워 있는 아궁이일 뿐 가마라고 할 수 없다. 이는 애초에 가마를 만들 수 있는 벽돌이 없기 떄문에 나무를 세어서 흙으로 바르고 큰 소나무를 연료로 삼아서 이를 말리는데, 그 비용이 벌써 많이 든다. 아궁이가 길기만 하고 높지 않으므로 불이 위로 오르지 못하고, 그렇기 때문에 불길이 고르지 못하므로 불 가까이 놓인 기와는 자주 이지러지며 먼 데 놓인 것은 잘 구워지지 않는다. 소나무를 땔감으로 사용하는 것 역시 기와 굽는 방법 한 가지가 잘못된 탓으로 좋은 목재가 날로 줄어들고 있다. 지금 우리나라의 옹기장이는 먼저 그 제도를 연구하지는 않고, 다만 큰 솔밭이 없으면 가마를 놓을 수 없다고만 한다. 이제 요업은 금지할 수 없고 소나무 역시 쓸 수 있는 분량이 제한이 있으니 먼저 가마의 제도를 고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번역문

이 마을에도 벽돌 가마가 2곳이 있었다. 1곳은 마침 벽돌을 거의 다 구웠다. 흙을 아궁이에 이겨 붙이고 물을 수십 통씩 길어다가 잇달아 가마 위로 들이붓는다. 가마 위는 조금 움푹 패어서 물을 부어도 넘치지 않았다. 가마는 한창 온도가 높아져 있어서 물을 부으면 곧 마르기 때문에 가마가 달아서 터지지 않게 하려고 물을 붓는 것 같다. 또 한 가마는 이미 구워서 식힌 벽돌을 가마에서 끌어내고 있었다. 대체로 이 벽돌 가마의 방식은 우리나라의 기와 가마와는 많이 다르다. 먼저 우리나라 가마의 잘못된 점을 말해야 이를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기와 가마는 곧 하나의 누워 있는 아궁이일 뿐 가마라고 할 수 없다. 이는 애초에 가마를 만들 수 있는 벽돌이 없기 때문에 나무를 세워서 흙으로 바르고 큰 소나무를 연료로 삼아서 이를 말리는데, 그 비용이 벌써 많이 든다. 아궁이가 길기만 하고 높지 않으므로 불이 위로 오르지 못하고, 불이 위로 오르지 못하므로 불기운이 힘이 없으며, 불기운이 힘이 없으므로 반드시 소나무를 때어 불꽃을 세게 해야 한다. 소나무를 때어 불꽃을 세게 하므로 불길이 고르지 못하고, 불길이 고르지 못하므로 불에 가까이 놓인 기와는 자주 이지러지며 먼 데 놓인 것은 잘 구워지지 않는다. 자기를 굽건 옹기를 굽건 상관없이 모든 요업(窯業)의 제도가 다 이 모양이다.
소나무를 때는 법 역시 같은 모습이다. 소나무 송진의 불꽃은 다른 나무보다 훨씬 세다. 그러나 소나무는 1번 베어버리면 새 움이 돋아나지 않는 나무이므로 1번 옹기장이를 잘못 만나면 사방의 산이 모두 벌거숭이가 된다. 100년을 두고 기른 것을 하루아침에 다 없애 버리고, 다시 새처럼 사방으로 소나무를 찾아서 흩어져 가버린다. 이것은 오로지 기와 굽는 방법 한 가지가 잘못된 탓으로 온 나라의 좋은 재목이 날로 줄어드는 것이요, 옹기를 만들어 파는 사람들도 날로 곤궁해지고 있다.
그에 비해서 이곳의 벽돌 가마는 벽돌을 쌓고 석회로 봉하여 애초에 말리고 굳히는 비용이 들지 않고, 또 마음대로 높고 크게 할 수 있어서 그 모양이 마치 큰 종을 엎어 놓은 것 같다. 가마 위는 못처럼 움푹 패게 하여 물을 몇 섬이라도 부을 수 있고, 옆구리에 연기 구멍 4〜5개를 내어서 불길이 잘 타오르게 되어있다. 그리고 그 속에 벽돌을 놓는데 서로 기대어서 불꽃이 잘 통하도록 되어 있다.
대개 요약해 말한다면, 그 요체는 벽돌을 쌓는 데 있다 하겠다. 이제 나 보고서 직접 만들어 보라고 한다면 아주 쉬울 것 같지만, 입으로 형용하기는 매우 힘들다. 정사께서는 그 쌓은 것이 ‘품(品)’자와 같으냐고 물었지만 나는 비슷하긴 하지만 꼭 같지는 않다고 하였다. 이에 변 주부가 쌓는 법이 책갑(冊匣)을 포개 놓은 것 같지 않으냐고 물었지만 그것에 대해서도 비슷하지만 꼭 같지는 않다고 하였다.
대략 그 쌓는 법은 벽돌을 눕히지 않고 모로 세워서 여남은 줄을 방고래처럼 만들고, 다시 그 위에다 벽돌을 비스듬히 놓아서 차차 가마 천장에 닿게 쌓아올린다. 그러는 중에 구멍이 저절로 고라니 눈같이 숭숭 뚫려서 불기운이 그리로 치오르면서 서로 엉켜 목구멍같이 화염을 빨아 당기게 되었다. 수없이 많은 불목이 불꽃을 빨아들이므로 불기운이 언제나 강해서 비록 저 하찮은 수수깡이나 기장대를 때어도 고루 구워지고 잘 익는다. 그러므로 터지거나 뒤틀어지거나 할 걱정은 거의 없다.
지금 우리나라의 옹기장이는 먼저 그 제도를 연구하지는 않고, 다만 큰 솔밭이 없으면 가마를 놓을 수 없다고만 한다. 이제 요업(窯業)은 금지할 수 없고, 소나무 역시 쓸 수 있는 분량에 제한이 있는 물건이니, 먼저 가마의 제도를 고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그렇게 되면 요업과 임업 모두가 다 이로울 것이다. 옛날 이항복(李恒福)과 김창업(金昌業)이 모두 벽돌의 이로움을 논하였지만, 가마의 제도에 대해서는 상세히 말하지 않았으니, 매우 애석한 일이다.